꿈과 환상에의 여행
[안견(安堅)의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 두루마리/비단에 담채, 38.7×106.0 cm, 일본 천리대학 중앙도서관 소장
꿈속에 보았던 황홀경의 세계가 눈앞에 다시 펼쳐진다면, 그 황홀감이야말로 다 하겠는가?
안견이 그린 안평대군의 꿈 이야기는 500년이 지난 지금도 황홀하기만 하다.
[김정희(金正喜)의 세한도(歲寒圖)] 두루마리/종이에 수묵, 23.7×108.2 cm, 개인 소장
갈필로 성글게 그려진 소나무와 잣나무,
그것은 빈틈과 미완성을 통해 보여지는 알참과 완성의 세계이다. ‘아아 잣가지 높아 서리 모르시올 화반이여’
멀리 신라의 충담이 읊었던 노랫가락이 천년 후에 다시 모습을 드러내는 듯하다.
[신잠(申潛)의 탐매도(探梅圖)] 견본담채, 43.9×210.5 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잔설이 분분한 첫봄에 몇 송이 피어난 매화,
세상의 어떤 예술가가 그 은은한 향기에 취하지 않으랴?
매화를 찾아 나선 선비는 결국 인간의 깨끗한 본성을 발견하고 탐매의 길을 마감하리라.
하지만 그 길에 끝이 있을까?
강호자연에의 동화
[이정(李楨)의 산수도(山水圖)] 화첩(畵帖) 12면 중 제 5엽(葉),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저 돛단배는 물 위에 뜬 것인가, 하늘을 나는 것인가? 아무런 작위도 없이 바람과 물결에 몸을 내맡기니, 그 또한 신선이 아닌가! 우리도 그처럼 물 같은 하늘, 하늘같은 물 고요와 적막에 흘러와 쌓이느니 시간 뿐이요, 다시 흘러가 사라지느니 그 또한 시간뿐이다.
붓을 들어 시간의 흐름을 그려낼 자, 그 누군가?
안견이 아니라면 아무도 없으리.....
[이불해(李不害)의 예장소요도(曳杖逍遙圖)] 견본담채, 18.8×13.3 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위에 몸을 맡길 수 있다면…
[전(傳) 안견(安堅)의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제1첩산시청람(山市晴嵐) 제2첩연사모종(煙寺暮鐘) 제3첩소상야우(瀟湘夜雨) 제4첩원포귀범(遠蒲歸帆) 제5첩평사낙안(平沙落雁) 제6첩동정추월(洞庭秋月) 제7첩어촌석조(漁村夕照) 제8첩강천모설(江天暮雪)
움직임이 없는 세계,
그 두 손을 뒷짐을 지거나 소매 속에 감추거나,
지팡이를 끌고 가거나 한가로움에는 무엇이 다르랴?
지팡이를 끌면서 고개 돌려 뒤돌아보는 저 선비의 모습을
오늘날 다시 볼 수 있다면,
그 지극한 즐거움을 다시 본다.
한국인의 이상향
[정선(鄭敾)의 금강전도(金剛全圖)] 수묵담채, 130,6 X 94,1 호암미술관 소장
일만이천 개골산, 누가 있어 그 진면목을 그렸는가? 하늘님이 내려다보며 암시라도 하였는가?
천리를 멀다 않고 한 걸음에 달려가 보고 싶은 마음이
그림 속에 살아있다.
정선(鄭敾)의 [동리채국도(東離採菊圖)] 선면/지본 담채, 22.7 × 59.7 cm,국립중앙박물관 소장(위) [유연견남산도(悠然見南山圖)] 선면/지본 수묵, 22.7 × 62.7 cm,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아래)
동쪽 울타리의 국화 송이 꺾어 들고, 유연히 남산을 바라다본다. 그 깊고 깊은 은일처사의 세계를 시인은 글로 쓰고, 화가는 붓으로 그려냈다. 시 가운데 그림이 있고, 그림 가운데 시가 있어 감흥 또한 곱절이다.
[김응환(金應煥)의 금강산 연주담도(連珠潭圖)] 견본 담채, 32×42.8 cm, 개인 소장
죽장에 삿갓 쓰고 금강산에 오르니,
몸은 조용하고 마음은 한가롭다. 고개들어 올려다보는 보이지 않는 얼굴 표정 속에는 연주담 주변 풍경의 진면목이 담겨있을까?
[전기(田琦)의 계산포무도(溪山苞茂圖)] 지본 수묵, 24.5×41.5 cm,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짧게 삐친 점들과 굴곡있는 선들은 삽상한 건강미를 전해준다. 복잡한 듯 단순하고, 시끄러운 듯 고요한 포무의 세계,
그것은 한국인의 마음 속에 자리잡고 있는
원초적인 공간의 모습이 아닐까?
[김수철(金秀哲)의 송계한담도(松溪閑談圖)] 화첩/종이에 담채, 33×45 cm, 간송 미술관 소장
송림 사이로 스치는 솔바람 소리,
악보도 없고 곡조도 없이 타는 줄없는 거문고 소리던가.
“송풍아, 세상 기별 오거든 불어 도로 보내어라.”
세속이 멀어지면, 화두조차 솔바람 되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