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방

허 스토리 (Her Story)

푸른비3 2021. 6. 25. 10:04

2021. 6. 22. 화.

 

며칠 전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전시화를 알리는 메일을 받았다.

관심을 끌었던 전시회는 허스토리.

코로나의 영향으로 사전예약을 하여야 하는데 

내 생일 날을 자축하기 위해 6월 22일로 날짜를 정했다.

 

정치적, 사회적으로 혼란스러웠던 1980년대를 배경으로 한

여성미술 전시로 당시 여성작가들의 역사와 일상적 삶에 얽힌

개인적, 사회적 시선으로 조망한 작품들로

가나아트 이호재 대표가 서울시립미술관에 기증한 200점의 작품군으로

1980~90년대 한국의 사회현실을 반영한 민중미술 및

리얼리즘 계열의작품이 전시된다고 하였다.

 

이번 전시회에는한애규, 안성금, 송매희. 송현숙, 김원숙,

박인경,김진숙. 윤석남, 박영숙,김인순, 정정엽. 노원희.

민영순, 윤진미 등 14인의 여성 작품들이 전시되었다.

 

같은 시대를 살아온 여성작가들의 작품에서

그 당시의 여성 억압에 대한 암시와 사회에 대한 생각과

개인적인 갈등을 느낄 수 있었으며,

남성작가들이 주도한 미술운동을 노원희를 구심점으로

김인순, 김진숙, 윤석남, 정정엽, 박영숙 등의

전시에 출품 활동한 여성작가들을 볼 수 있었다.

 

자아에 대한 탐구와 정체성에 대한 고민은 

민영순, 진진미와 같은

재외 한인 여성 작가의 작품에서 볼 수 있었다.

 

2000년 이후 수집된 서울시립미술관의 소장품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미술사에서 여성주의 미술의 중요 기점이 되는

순간을 돌아볼 수 있었으며 80년대 시대와 사회를

여성들의 시선을 통해 감상할 수 있었다.

 

나는 아직도 미술이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예술이며

자연을 통하여 받은 감동을 회화로 표현하는 것이며

작품을 통하여 따뜻한 위로를 주고 받는 것이라는

고정 관념을 갖고 있지만,

이번 <허스토리>전시를 보는 동안  

조금은 다른 각도로 작품을 감상할 수 있었다.

 

 

 

 

 

한애규의 작품들.

 

오른족부터 안성금, 송매희. 송현숙의 작품.

 

김원숙의 소나무.(우) 김진숙의 즈문 달아 (좌)

 

김인순의 그린힐 화재에서 22명의 딸들이 죽다.

 

김인순의 파출소에서 일어난 강간.

 

박영숙, 윤석남의 자화상.

 

정정엽의 판화 올려보자, 봄날에. 면장갑.

 

윤석남의 손이 열개라도.

 

김원숙 구출.

 

송현숙, 불타는 집.

 

김진숙. 들국화

 

    *      *       *       *

(아래는 펀글.)

《허스토리 리뷰》는 정치적, 사회적으로 혼란스러웠던 1980년대를 배경으로 한 여성미술 전시로 당시 여성작가들의 역사와 일상적 삶에 얽힌 개인적, 사회적 시선을 조망한다. 전시는 가나아트 컬렉션에 포함된 여성작가들의 작품에서 시작된다. 가나아트 컬렉션은 2001년 가나아트 이호재 대표가 서울시립미술관에 기증한 200점의 작품군으로 1980-90년대 한국의 사회현실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민중미술 및 리얼리즘 계열의 작품들을 포괄한다. 이 중 여성작가인 김원숙, 박인경, 송매희, 송현숙, 안성금, 한애규의 작품은 당시 가정 안에서 규정된 여성의 역할, 혼란한 시대상에 대한 인식, 여성 억압에 대한 암시 등 그들이 일상에서 마주한 사회에 대한 생각과 개인적 갈등을 보여준다.

  

암울한 정치상황 속에서 삶과 유리되지 않는 미술을 추구했던 민중미술은 주로 남성작가들이 주도한 소집단 미술운동과 함께 전개되었다. 노원희는 1980년대 소집단 미술운동의 구심점이라 할 수 있었던 ‘현실과 발언’의 여성회원으로 참여하며 당시 사회의 시대적 초상을 응축된 형상으로 그려냈다. 1980년대는 한국 미술에서 본격적인 여성주의 미술이 태동한 시기로 민중미술 계열 여성작가들이 전시를 통해 여성현실에 직접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기 시작한다. 이번 전시는 사회변혁을 지향한 미술 흐름이었던 민중미술의 맥락에서 여성문제를 탐색하고 실천을 전개한 이들의 작품을 소환한다. 한국 여성주의 미술의 시원으로 불리는 1986년 《반(半)에서 하나로》전, 1987년부터 1994년까지 연례전으로 개최된 《여성과 현실》전, 1988년 여성시화전 《우리 봇물을 트자: 여성해방시와 그림의 만남》은 여성해방운동 차원과 문화적 차원에서 주요하게 논의되는 여성미술 전시로, 이러한 전시에 출품했던 김인순, 김진숙, 윤석남, 정정엽, 박영숙 등은 가나아트 컬렉션 여성작가들과는 다른 면모를 보인다. 

  

자아에 대한 탐구와 정체성에 대한 고민은 같은 시기 민영순, 윤진미와 같은 재외 한인 여성작가들의 작품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발견된다. 이들은 서구 사회에 정착한 비서구 출신 이민자 여성으로서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는 중첩된 타자적 조건 속에서 디아스포라의 정서를 인종, 젠더, 국가, 역사, 기억의 차원에서 다루며 정체성을 작업의 주요 화두로 연결시킨다. 페미니즘 이슈가 지속적으로 대두되는 오늘날, 2000년 이후 꾸준하게 수집된 서울시립미술관의 소장품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미술사에서 여성주의 미술의 중요 기점이 되는 순간을 되돌아보고자 한다. 1980년대라는 시대와 사회를 둘러싸고 펼쳐지는 여성들의 교차되는 시선을 통해 그들의 존재를 재발견하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그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0) 2021.06.29
호민과 재환  (0) 2021.06.26
요지연도(국립고궁박물관)  (0) 2021.06.23
이안 전시회  (0) 2021.06.21
현대 구상화가 협회전  (0) 2021.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