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방

러시아 이콘 2-17세기

푸른비3 2021. 12. 22. 11:58

2021. 12. 15. 수.

 

전시실 입구에 이번 전시회에 대한 소책자가 구비되어 있었다.

무료로 가져 갈 수 있지만 그 아래에 기부금 모금함이 있어

나도 작은 금액을 넣고 가져 왔는데, 이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어서

러시아 이콘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그 소책자의 설명서에 의하면 러시아 이콘은 초기에는 비잔틴 규범을

엄격히 따르지만 점차 러시아 정교회만의 독특한 양식으로 발전해 왔다.

고유한 특성은 형태의 왜곡, 역원근법. 이미지 중첩과 병렬 등을 꼽을 수 있다.

15~19세기까지 다양한 사조와 양식, 대중화의 단계까지 모두 아우른다.

 

15~16세기는 러시아 이콘의 황금기로 동방정교회의 중심이었던 비잔틴 제국이

멸망하고. 모스크바 대공국이 러시아를 통일함에 따라. 러시아가 중심지가 된다. 

이 시기는 비잔틴 전통을 받아들이고, 독자적인 양식을 확립하며 전성기를 이룬다.

모스크바를 중심으로 뛰어난 화가들이 모스크바로 모여 들어 통일된 양상이 형성된다.

 

지역적 특징으로는 로스토프는 러시아 북서부의 야로 슬라프주에 속하며

모스크바의 북동쪽에 위치하며 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의 하나이다.

갈색과 황토색의 변주를 이용한 투명한 채색, 우아하게 긴 신체.

깊은 사색에 잠긴 듯한 얼굴 표정을 특징으로 한다.

 

노브고로드는 러시아 서부에 위치한 러시아에서 두 번째로 가장 큰 문화 중심지로

독특한 지역 양식을 창출한 곳으로 모스크바 화파에도 깊은 영향을 끼친다.

이전 시대 비잔틴의 영향이 남은, 명확하고 균형 잡힌 구도의 이콘을 제작했으며,

선홍색과 함께 밝은 색을 풍부하게 사용한 것이 그 특징이다.

 

프스코프화파는 13~14세기 러시아 북서부에 위치한 프스코프 도시를 중심으로

형성된 화파이며, 프스코프 공화국의 중심지로 활동한 화파이다.

진한 오렌지색 계통의 붉은 색, 깊은 올리브 그린색을 특징적으로 사용했다.

흰색과 여백을 적극 활용한 밝은 빛의 묘사, 그림자의 어두운 질감 표현 능력이 뛰어났다.

 

모스크바는 모스크바 대공국의 수도로 15세기 이후 러시아의 정치, 종교, 문화의 중심지.

모스크바 이콘은 구성, 선의 형태, 색채의 표현에서 고전적인 균형을 보여 준다.

비잔틴 화풍을 바탕으로 길게 확장돤 인물의 신체 비율, 부드럽고 섬세한 선의 실루엣,

자연스러운 인물 동작과 사색에 빠진 듯한 근엄한 얼굴 표정을 특징으로 한다.

 

 

17세기. 전통과 변화의 공존.

 

 

십자가 현양.

17세기 초. 러시아 북부 지역. 목재. 템페라.

 

 

성 코스마 야흐룸스키와 성모승천 수도원 전경

17세기말 -18세기 초. 블라지미르 수도원. 목재. 템페라

 

 

손으로 만들지 않은 구세주의 역사.

17세기 초. 스트로가노프 공방. 목재. 템페라. 

 

 

예수부활.-저승에 내려가심.

19세기 후기. 모스크바. 목재. 템페라.

 

대천사 미카엘. 1700년경. 볼가. 목재 템페라.

 

성 플로로와 라우로에 관한 미카엘 대천사의 기적.

17세기말~18세기초. 목재. 템페라.

 

총사령관 대천사 미카엘.

18세기 초. 러시아 중부 지역. 목재. 템페라.

 

 

예수의 변모.

1680년대. 모스크바. 목재. 템페라

 

 

성 금요일의 위대한 순교자 파라스케바와 구약의 성섬위일체.  생애 10장면.

목재. 템페라.

 

 

순교자 카타리나. 

18세기 중 ~후기. 볼가. 목재. 템페라.

 

 

예루살렘에 입성하신 주님.

18세기 초. 목재. 템페라.

 

 

학자들에 가운데 있는 소년 예수.

1700년경. 볼가. 목재. 템페라.

 

 

미라와 성 니콜라이(모자이스크)

16세기말. 목재. 템페라.

 

 

그리스도의 탄생.

16세기 말. 러시아 중부 지역. 목재. 템페라.

 

 

야로슬라블의 성모(앞면) 양면 이콘.

1600년대. 러시아 중부지역. 목재.  템페라.

 

 

성모의 탄생 (뒷면) 양면 이콘.

1600년대.러시아 중부 지역. 목재. 템페라.

 

 

위대한 순교자 표도르 스트라틸라트와 순교자 이리나. 성녀 페오도시아(외곽)

1580~90년대. 목재. 템페라.

 

 

솔로베츠키의 성 조지마 수도원장과 성 사바티 수도사.

16세기 말, 목재. 템페라.

 

 

호데게트리아 성모. 헥사메론. 모든 성인의 안식일. 삼단접이식 이콘, 오클라드.

'그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르트르 대성당의 스테인드글라스  (0) 2021.12.25
러시아 이콘 3  (0) 2021.12.22
러시아 이콘 1: 어둠을 밝히는 빛  (0) 2021.12.22
자연 속으로  (0) 2021.12.09
결-남은 자리(김경현展)  (0) 2021.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