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1. 25. 목.
목요일 복지관에서 배우는 영어 수업이 영어 선생님의
개인적인 사정으로 갑자기 휴강된다는 문자가 왔다.
목요일 오후는 늘 영어 공부 시간으로 비워 놓았기에
갑자기 주어진 여유 시간을 집에서 보내기 아쉬웠다.
문득, 매스컴에서 보았던 옛서울 역사를 찾아 가고 싶었다.
명칭도 옛 서울역이 아니고 문화역 서울 284로 변경되었다.
서울 284란 옛 서울역의 사적번호로,
1981년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지정되었으며,
현재 연극, 공연 전시 등 문화의 공간이 되었다.
내가 1970년대 처음 서울역을 보았을 때의 서울역은
마치 신세계로 향하는 문 같았고, 서울 지리를 몰랐으므로
어디로 가던 다시 서울역으로 돌아와서 찾아가고 하였다.
역 앞의 붉은 벽돌의 건물이 여전히 건재하니 더욱 반가웠다.
내가 서울역 광장으로 나서기 길게 줄을 이은 무리가 있었는데,
코로나 선별 검사소가 있어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선 사람들이었다.
눈에 익었던 붉은 벽돌의 르네상스 건물 안으로 들어가서
체온 측정도 하고 QR체크도 하고 들어가니 전시회를 하고 있었다.
옛서울역에 대한 자료를 검색 해보니 1900년에 경인선이
서울 남대문역까지 진입하였고, 그 당시의 목조 역사를
남대문정거장이라 불렀는데 이 목조 역이 경성역의 시초였다.
1922년부터 1925년까지 르네상스 건축물로 신축하였다.
붉은 벽돌, 화강암 바닥, 인조석을 붙인 벽 등 이국적인 외관으로
화제가 되었으며, 새 역사 명은 경성역으로 변경하였다.
2004년부터 구 역사가 폐쇄되고,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복원공사를 진행하였으며 100년 전 연사내부의 모습을 재현하였다.
내가 방문하였던 날은 마침 <제2회 가상정거장>전시회가 열리고 있었다.
전시회는 사전 예약을 해야만 입장을 할 수 있었는데
방문객이 없는 시간에는 현장 접수도 가능하여 몇 전시장을 구경하였다.
가상정거장은 전시 기간 동안 여러 가상의 영역을 잇는 정거장이 된다.
1등 대합실. 2.3등 대합실. 부인실 등 방이 나눠어 전시를 하고 있었다.
현대미술은 회화의 영역보다 영상으로 더 많이 표현하는 모양이었다.
영상세대인 젊은이들에게는 쉽게 다가오겠지만
활자세대인 나에게는 영상 미술품은 여전히 접근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래도 내가 현제 살고 있으니 그들의 미술세계로 들어가 보고 싶었다.
역장실에서는 현장신청이 가능하여 김희천의 영상물 <사랑과 영혼>을
신청하였는데, 처음으로 VR기기를 머리에 쓰고 15분동안 시청하였다.
360도 화면을 볼 수 있어 내가 실제 그 가상공간에 있는 것 같았다.
광활한 우주속에 둥둥 떠 다니는 물체를 손으로 잡아 보고 싶었다.
어쩌면 내가 죽어 다른 세계로 날아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3등 대합실에서는 김나희의 <미토릭스>가 4시에 예약이 가능하여,
예약을 해 놓고 2층도 올라가 보고 이방저방을 기웃거려 보았다.
4시 예약 시간에 맞추어서 어둠고 넓은 공간으로 들어갔다.
이곳에서는 내 스마트폰으로 들여다보면서 오디오를 들어야 했는데,
도대체 사이보그가 무슨 말을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아 금방 나왔다.
역시 현대미술은 나에게 어렵지만 그래도 즐거운 시간이었다.
문화서울역 284의 모습.
입구에 지금 전시중인 <가상정거장> 현수막이 걸려 있다.
제2회 가상정거장
1층 중앙홀.
1층 중앙홀의 천장.
중앙홀은 아직 전시 준비중이었다.
1.2등 대합실의 복도.
1,2등 대합실의 전시명.
영상 전시. :에란 겔의 실패의 수사학.
부인대합실의 전시명.
부인대합실 내부.
에란 겔의 불가능한 공동체.
1.2등 대합실의 안내판.
부인대합실 안내판.
역장실 안내판.
역장실 내부.
역장실에서는 김희천의 <사랑과 영혼>영상물이 전시되었다.
이곳에서는 현장 신청이 가능하여 생전 처음 VR 기기를 머리에 쓰고 보았다.
이 가상공간은 내가 죽어서 저 세상으로 가는 것을 경험하는 것 같았다.
수 많은 우주의 천체가 광활한 공간을 둥둥 떠 다니는 것 같았고,
나에게도 다가오는 물체를 직접 손으로 잡고 싶어 팔을 허위적 거렸다.
귀빈실의 차이밍량의 <페허>
내가 사용했던 VR 기기.
귀빈 예비실.
서측 복도.
서측 복도 밖으로는 철길이 보였다.
서측 복도의 벽면.
625전쟁으로 일부 파괴되었다는 설명판.
2층 화장실.
2층 차대실의 정금형의 <레코드 스톱 플레이>
2층의 표지판.
2층 복도.
3등 대합실의 김나희의 <미토릭스>
오후 4시 예약을 하여 입장하였으나 도저히 무슨 의미인지 알 수가 없어 일찍 나왔다.
'그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차 시리즈 2021: 문경원&전준호 (0) | 2021.12.01 |
---|---|
이건희 컬렉션-한국미술명작 1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0) | 2021.12.01 |
이철수 판화전 (0) | 2021.11.27 |
묵언 (이한우 개인전) (0) | 2021.11.27 |
인스케이프(강동문화원 전시지원공모. 선정작가전시) (0) | 2021.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