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5. 16. 토.
비 개인 오후 모처럼 금보성 아트센터 전시장을 찾았다.
금보성 전시장은 그냥 지나치다 들릴 수 있는 장소가 아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쉬운 장소가 아니어서 작정을 하고 집을 나섰다.
길찾기를 하니 4호선 길음역에서 버스를 환승해라고 하였다.
지난 겨울 김현정 초청 전시를 찾아간 경험을 되살려 비탈길을 오르니
이번에는 저 멀리 커다란 금보성 간판이 보여 쉽게 찾을 수 있었다.
내가 도착하였을 때 마침 오픈식 축하 연주 리허설을 하고 있었다.
갑자기 이 곳을 찾게 된 동기는 바로 최승애님의 작품을 보고 싶어서였다.
1층 전시실에 가득 전시된 작품을 보고 한 사람의 작품이 이렇게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였고,
제작 기간이 얼마인지 모르겠으나 작품의 수량이 많은 것이 놀라웠다.
아, 이 스텐레스 작품은 미국 LA전시장에서 보았던 쿱스의 작품을 연상시켰다.
계단 아래 지하 1층 오경아의 전시
지하 1층 오경아 초대전.
최승애 작업실.
오픈식 인사. 이 분이 금보성 미술관 관장?
축하 공연.
마스크를 쓰고 오픈식에 참석한 관람객.
오페라 아리아 연주.
미술계의 초청 축하 인사.
지하 2층 전시장 이은정 작가의 인사.
지하 1층의 오경아 작가의 인사.
2층 이무웅 작가의 인사
최승애 작가의 인사.
오픈식이 끝나고 마침 최승애 작가가 보여 함께 기념 사진을 찍었다.
전시장 안내.
지하 2층 이은정 작가의 전시실.
이은정 작가의 작품은 무언가 강한 메세지를 전달하는 듯 하였다.
표현 기법도 뛰어 났으며 하얀 붕대를 감은 유리병 페트병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자신들의 상징하는 것이 아닐까?
겉으로는 아름다운 꽃을 담고 있지만
내면적으로는 많은 아픔과 슬픔을 붕대로 칭칭 감고
버티고 있는 우리들이 아닐까?
우연히 같은 테이블에서 이은정 작가님과 식사를 할 수 있어서 인사를 하였다.
이은정님 작품앞에서 기념사진.
오픈식이 끝난 후 저녁도 먹고 나왔다
'그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 갤러리 개관 전시회 (0) | 2020.05.18 |
---|---|
오월의 그리움. (임혜영 전시회) (0) | 2020.05.17 |
이광용 전시회 (0) | 2020.05.12 |
이명복 개인전 (0) | 2020.03.25 |
눈먼 역사(황재종 역사화)展 (0) | 2020.03.25 |